마케팅

출판 마케팅에 관하여

countryroad 2024. 6. 5. 17:01
728x90
728x90
SMALL

출판 마케팅이란? - 출판사가 출판 콘텐츠를 기획, 제작, 유통, 판매함에 있어 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일련의 활동

<출판 마케팅의 필요성>

  • 출판은 제품의 특성상 반복 구매율이 타 상품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상품 홍보와 광고, 다양한 프로모션이 매우 중요하다.
  • 문화 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화 향유층의 확산이다. 책 읽는 사회를 만드는 것, 그것이 출판사의 사회적 책임이기도 하다. 

<팬덤 구성>

팬덤이란? 

  • 과거에도 인기 있는 책이나 매체는 작가의 에세이나 해당 매체의 대본집 등의 부가적인 출판이 이루어졌었다.
  • 히트 상품이 아니더라도 작품이나 작가의 팬이 존자하면 얼마든지 '북펀딩'을 통해 책을 대중에 공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콘텐츠 자체보다 주로 팬들의 '소장용'으로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우선 독자를 모으려면 우리만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 독자가 출판사로 찾아오도록 팬덤을 형성해야 하고, 독자가 반응하고 몰리는 곳을 빠르게 분석하여 그곳에서 도서를 홍보해야 한다.

<독자 커뮤니티 북클럽 - 북클럽 사례>

  • '북콘서트'의 진화 형태인 '북클럽'은 코로나 19팬데믹 이전에는 저렴한 가격에 책과 굿즈를 제공하는 정도였지만 현재는 독자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문학동네 출판사의 <북클럽 문학동네> - 참여자들이 받을 책을 직접 선택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참여 시 책을 기부하는 캠페인도 진행하여, 독자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효용
  • 마음산책 출판사의 북클럽 - 신청자의 SNS 등을 심사하여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소수만을 선발하여 독자의 출판사에 대한 충성도를 관리하고 '특별함'의 기분을 선사

<뉴스레터> -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뉴스레터도 팬덤 유지를 위한 좋은 사례

사례 위즈덤하우스 출판사의 '아하레터' - 출판사의 정보나 책 소개 대신 구독자들이 필요로 하는 상식을 전달하고 있다. / 유유출판사의 '보름유유' - 자사의 특별한 스토리를 공유하여 구독자들과의 친밀함을 쌓고 있다.
주의점 최근 뉴스레터의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은 경쟁의 심화를 의미
따라서 재미가 없거나 도움이 되지 않으면 과감히 수신을 거부하는 구독자들을 어떻게 게속해서 유지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출판업계의 99%를 차지하는 중소형 출판사 , 중소형 출판사는 노력해도 독자의 관심을 끌기 쉽지 않다. 중소형 출판사의 현실에 맞는 '저예산고효율'원칙의 마케팅 기법

<인스타그램 마케팅>

북클럽이나 유튜브, 구독 서비스 등을 진행할 수 없을 때 책의 잠재적 구매자의 도착지를 출판사 쪽으로 선회해야 한다.

<인스타그램 인게이지 먼트>

  • 팬덤 형성을 위한 방법으로 단순히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넘어 계정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여야 한다.
  • 인게이지먼트는 계정의 팔로워에 비해 좋아요, 댓글, 공유 등 상호 교류 정도가 얼마나 많은지의 수치를 종합한 것이다.
  • 커뮤니케이션 기반인 SNS는 그 특성상 마케팅에 사용하려면 게시글의 수 이상으로 팔로워의 호응 정도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인게이지먼트 측정>

인스타그램 참여율 - 좋아요 수+댓글수 / 팔로워 수       X100

측정한 회사 계정의 인게이지먼트가 2% 이상이면 높은 성과 1% 미만이라면 독자가 관심 없어하는 콘텐츠로 양만 채우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팔로워가 많지만 인게이지먼트가 낮은 계정은 비활성 독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것일 수 도 있다.

<인게이지먼트 상승법>

  • 계정 운영자의 닉네임을 만들어 팔로워와의 소통 허들을 낮추는 것이다. EX) 현암요정(현암사)
  • 팔로워의 댓글에 답글을 다는 것. 답글을 달면 확인을 위해 계정으로 독자가 다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인게이지먼트가 올라가며 독자가 출판사에 충성심을 가지게 된다. 
  • 마지막으로 브랜디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것.

<브랜디드 콘텐츠란?>

일하는 방식 등 회사의 특색을 노출하면서 팔로워와의 호감도를 형성하기 위해 제작되는 콘텐츠 - 책과 보도 자료에 기반한 정보성 콘텐츠의 업로드는 많은 출판사에서 이미 하고 있지만 브랜디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곳은 많이 없다.

왜 인게이지먼트가 높아야 하는가? - 인게이지먼트가 높아지면 독자가 능동적으로 정보를 습득하여 정보의 완독률이 높아지고, 출판사의 팬덤 고객을 대상으로 한 참여형 브랜드 마케팅이 생겨나며, 무엇보다 알고리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출판사가 만드는 콘텐츠는? - 출판사는 근본적으로 책을 만든다. / 과연 중소형 출판사가 유튜브 운영까지 가능할까? / 그렇다면 유튜브를 안 해도 되는가?

 

<유튜브>

  • 많은 출판사가 사람이 몰리는 곳이라는 이유로 유튜브 진입을 시도하지만, 체감상 그 실효성이 높지 않다.
  • 그럼에도 유튜브 광고를 포기할 수는 없으므로, 유튜브 광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신생 채널을 검색하여 채널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장기 계약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안
  • 신생 채널은 콘텐츠 대비 비용이 적으므로 활용 가치가 높으며, 장기 계약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면 출판사 입장에서는 권당 홍보 단가가 낮아지고, 유튜버는 고정 수익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마무리>

팬덤 - 각 출판사만의 특별한 콘텐츠를 만들어서 팬덤을 형성 / 만약 독자가 반응하고 몰리는 곳이라면 그곳에서 홍보 / 사례로는 추루판사가 운영하는 북클럽과 뉴스레터 

인스타그램 인게이지먼트 - 인게이지먼트는 계정의 팔로워에 비해 좋아요, 댓글, 공유 등 상호 교류 정도가 얼마나 많은지의 수치를 종합한 것이다.

브랜디드 콘텐츠 - 일하는 방식 등 회사의 특색을 노출하면서 팔로워와의 호감도를 형성하기 위해 제작되는 콘텐츠 

728x9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