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교정

편집 체제 점검

countryroad 2023. 4. 19. 20:53
728x90
728x90
SMALL

편집 체제 점검

<편집 체제 재검토>

-편집 콘셉트에 따라 편집 체제가 잘 반영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먼저 수립했던 편집 체제를 면밀히 살표보는 것이 중요하다. 편집 체제에는 일반적으로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외적 체제는 출판물의 판형과 레이아웃, 서체, 색도, 지질, 도판류 등이 포함되며 내적 체제는 출판물의 내용의 분량, 수준 표현과 표기 등이 포함된다. 편집 기획 단계에서 편집 체제 구성을 진행한 후 실질적 편집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편집 체제가 기획에 맞게 잘 반영되었는지 재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편집 콘셉트를 잘 반영하여 외적*내적 편집 체제가 잘 구성되었는지 점검하여 최종 편집 교정을 완료할 수 있다. 

 

1.외적 편집 체제의 점검

(1)판형 점검

-일반적으로 판형은 a4(국배판), a5(국판), a6(국반판), b4(타블로이드판),b5(4x6배판),b6(4x6판)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그동안 대중적으로 규격화된 판형에 맞춰 출판물을 제작해 왔으나최근에는 다양화된 독자 니즈에 맞춰 판형도 자유로워져 변형판으로도 많이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적 편집 체제를 검토할 때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편집 콘셉트에 맞는 판형을 사용하였는가?'이다.

 

(2) 레이아웃 점검

-레이아웃은 판형이 결정된 후, 판면을 설정하는 것으로 기본 편집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배치*배열하여 시각적 극대화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극대화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시각적으로 안정적인 레이아웃을 많이 사용하나 최근에 와서는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 실험적 레이아웃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를테면 다양한 레이아웃 선행 연구에서 레이아웃 유형에 관한 선호도, 주목률을 높이는 레이아웃 등을 연구하며 레이아웃의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왔다. 독창성과 조형성, 가독성 및 메시지 전달성 등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본 출판물의 편집 콘셉트에 부합하는 레이아웃의 유형을 사용하였는지를중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좋다. 

 

(3) 서체 점검

- 서체는 언어적 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조형적 요소로서 시각적 상징 체계를 모두 포함한다. 과거에는 가독성과 관련한 의미 전달의 기능주의적 타이포그래피에만 큰 의미를 두었지만 이후 다양성과 개성 및 대중성까지 겸비한 실험적 타이포그래피가 현대인들의 감성과 맞물리면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서체는 가독성과 시각적 임팩트, 정서적 호소 등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서체의 크기는 독자들의 연령대에 맞는 가장 편안한 크기를 사용해야 한다. 정리하면, 출판물에 적용한 서체의 요소가 기능적*조형적으로서 충족하는지, 출판물의 콘셉트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4) 색도 점검

-색상은 출물의 전체 분위기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채도, 명도, 톤 앤 매너, 배색 기법 등이 전체 콘셉트와 일관되게 표현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색상에는 감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색상이 가지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색상은 출판물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데 주요 역할을 한다. 또한 연령별, 성별, 직업별 선호 색상이 다를 수 있으며, 출판물의 장르별 색상, 핵심 콘셉트에 따른 이미지스케일이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랑스러움'이 주요 콘셉트라고 하여 분홍색을 선택했을 경우도 채도와 명도에 따라 같은 분홍색이 주는 의미와 분위기가 매우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색상을 메뉴얼화하여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선택-점검해야한다.

 

(5)지질 점검

-편집 콘셉트에 맞는 지질의 종류, 중량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 지질 선택으로 인한 콘셉트의 일관성이 저하 되지는 않았는지, 지질이 주는 느낌이 어떠한지를 점검한다. 

 

(6)도판류 점검

-도판류는 작품 유형, 재료, 세부 묘사 등을 의미하며, 편집 콘셉트를 확인하여 사실주의적, 추상적, 구성주의적, 만화적, 표현주의적 유형, 혹은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사진+일러스트레이션, 드로잉 등의 적용 여부를 점검한다.

 

2.내적 편집 체제의 검토

(1) 내용의 분량 점검

-출판물은 종류에 따라 분량의 차이가 있다. 톡자의 특성, 장르의 특성에 따라 분량이 정해지기 때문에 편집 콘셉트를 확인하여 내용의 분량을 검토한다. 

 

(2)내용 수준 점검

-출판물 내용은 핵심 독자층의 연령, 교육 수준, 전문가, 일반인 등에 따라 수준에 맞게 편집 되어야 한다. 출판물은 정보 전달과 흥미 유발이 되어야 하므로 편집 콘셉트에 맞게 내용 수준의 적절성을 점검한다.

<편집 콘셉트에 따른 편집 체제 적용여부 점검>

1.독자 기획 기준에 맞는 편집 체제 점검

-편집 기획 단계에서 수립했던 독자층의 기준에 맞게 편집 체제가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하는 단계이다. 편집 체제를 점검하기 위해서 핵심 독자층 및 잠재 독자층의 선호도, 수준, 습성 등을 고려한 체제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테면, 핵심 독자층이 '전문 디자이너'라고 한다면 전문 디자이너의 수준에 맞는 내적 편집 체제와 디자니어들이 선호하는 색상과 판형, 지질, 서체 등을 분석하여 적용해야 한다. 편집 콘셉트에 분석한 핵심 독자층의 기호, 선호도, 트렌드 등의 분석을 면밀히 검토하여 디자인된 교정지에 편집 콘셉트가 잘 적용되었는지, 콘셉트에 부합하는지 등의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만약 콘셉트에 어긋난 부분이 있을 시에는 편집자에게 수정을 의뢰한다. 

 

2. 장르 기획 기준에 맞는 편집 체제 점검

-편집 기획 단계에서 수립했던 책의 장르의 기준에 맞게 편집 체제가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쉽게 접근하는 이탈리아 요리' 라는 책의 편집 콘셉트의 경우 요리라는 장르에 맞게 식감을 돋울 수 있는 색상 선택과 재료와 요리를 맛깔스럽게 보일 수 있는 지질 선택, 직접 요리를 하면서 볼 수 있을 만한 판형과 가독성 있는 서체, 요리를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해주는 사실주의적 사진 이미지 적용여부, '쉽게 접근'이라는 주제에 걸 맞는 내적 편집 체제가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3. 핵심 콘셉트 기준에 맞는 편집 체제 점검

- 마지막으로 핵심 독자층과 장르 특성을 반영했다면 핵심 콘셉트가 편집 체제에 잘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앞서 소개했던 사례인 '쉽게 접근하는 이탈리아 요리'의 핵심 콘셉트가 '세련되고 기품 있는 이탈리아 요리' 인지 '소박하고 실용적인 이탈리아 요리' 인지에 따라 편집 체제는 달라져야 한다. 

 

이글은 교육부에서 제공한 ncs학습모듈의 내용입니다.

 

 

 

 

 

 

728x90
728x90
LIST

'편집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판물 구성요소 확정  (0) 2023.04.21
편집 구성요소 결과 분석 및 점검  (0) 2023.04.20
편집 체제 확정  (0) 2023.04.20
편집 체제 분석  (0) 2023.04.19
편집 콘셉트 점검  (2)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