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최근 K-pop 음반 트렌드, 레드벨벳 앨범 , 그레이 나래

countryroad 2024. 6. 4. 15:38
728x90
728x90
SMALL

최근 K-pop 음반 트렌드, 레드벨벳 앨범, 그레이 나래

 

1. 연도별 음반 패키지 변화 & '스마트 앨범'등장

1950~현재까지 연도별 음반 패키지 변화 - kpop 산업은 듣는 음악도 중요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이는 음반의 퀄리티도 매우 중요해진 시대다. 그래서 크게 4개의 연도로 나눠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도별 음반 패키지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환경오염에 맞춤"스마트 앨범"전환

케이팝에서 특정적으로 나타난 앨범 문화는 판매량 증가란 사업적 효과를 창출했으나,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 이유는 앨범보다 굿즈에 수요가 몰린 탓에 쓰레기 발생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결책으로 등장한 게 스마트 앨범이다.

시기 1950~1960 1970~1980 1990~2010 2010~현재
형태 종이케이스 플라스틱 케이스 플라스틱 케이스 북형태, 박스 케이스
음반 LP LP, 카세트테이프 CD,카세트테이프 CD,키노
구조 평면 평면,입체 분리 입체
포장 종이 플라스틱 플라스틱,종이 종이, 기타
특징 단순히 내부 음반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디자인되며 주로 종이재질을 커버로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고 크기가 커 보관적인면에서 단점이 나타남 플라스틱 재질의 음반케이스와 함께 카세트 테이프 음반이 나타나게 되면서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고 오랫동안 대중화 됨 CD음반이 국내외에서 현재까지 대중화 되고 다양한 재질과 구조를 융합하여 형태적인 변화를 시도하여 차별화된 음반이 나타남 음반 콘셉트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접목한 패키지 디자인을 접목하고 LOT를 접목한 키노앨범이 나타

<하이브의 위버스 버전 앨범>

-하이브의 위버스 버전 앨범이란 하이브 팬덤 커뮤니티 MD판매를 담당하는 플랫폼 위버스가 디지털 코드 기반 앨범을 제작하는 곳이다.
- 위버스 버전 앨범을 구매하면 QR코드가 배송되며 이를 모바일 기기에 인식하면 음악을 포함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식이다. 방탄소년단의 제이홉이 첫 솔로앨범 잭 인 더 박스는 위버스 앨범 형태로만 발매된 바 있다.

<SM엔터테인먼트의 SMINI>

-SMIN이란 SM에서 NFC기술을 적용한 앨범을 판매하고 있는 곳이다. NFC 앨범은 교통카드처럼 스마트 뮤직 카드를 스마트폰에 태그 하면 앨범과 사진, 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앨범 형태는 키트 앨범 형태로 스마트 뮤직 카드 앱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SMINI 앨범 장점은 기존 CD앨범의 디자인을 미니어처로 줄인 크기로 제작된 키링이라 사용성 측면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2. 세계관 마케팅

세계관 정의 - 영어로는 유니버스라고 불리는 세계관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자연적 세게와 인간세계를 이루는 인생의 의의나 가치에 곤한 통일적인 견해'를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마블이 있다.

K-POP 세계관 - 케이팝 세계관은 마블의 큰 영향력을 받았다. 마블은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거나 판권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들의 영화나 드라마가 공유하는 하나의 우주와 같은 개념이다. 이러한 마블 세계관이 유입되어 만들어진 K-POP 세계관은 아이돌 음악의 이야기라는 생명력을 불어넣어서 만들어낸 영화 같은 가상의 얘기라고 말할 수 있다. 

세계관 마케팅의 중요성 - 케이팝 산업에서 세계관 마케팅은 필수요소로 손꼽히고 있다. 아티스트만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으로 대중의 호기심을 유발해 팬덤을 형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아티스트만의 독보적인 콘셉트를 형성해 음반 디자인 요소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에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다.

 

현실적 세계관 VS 비현실적 세계관

BTS 현실적 세계관 에스파 비현실적 세계관
BTS의 세계관 특징을 보면 이 시대 청춘들의 아픔 또는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과 같이 자신들의 실제 이야기를 청년들의 보편적인 정서로 남아내 공감과 성장일란느 코드를 사용했다./결국 BTS 같이 우리들의 이야기를 일상에 잘 담아내는 현실적으로 가까기 다가오는 세계관은 공감이라는 감정을 이끈다.  에스파의 세계관은 카리나, 윈터,지젤,닝닝과 그들의 아바타 아이에스파까지 총 8인조를 표방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자신의 또 다른 자아인 아바타를 만나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된다. 라는 메타버스 그룹을 지향하고 있다./ 결국 에스파와 같이 현실세계가 아닌 가상의 세계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독트한 세게관은 대중의 흥미와 상상력을 유발한다.

세계관 마케팅의 정점을 찍은 에스파

KPOP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의 모티브는 마블코믹스다. 이러한 코믹스의 특징은 각각의 입체적인 캐릭터들로 스토리를 전개하는 것이다. KPOP도 마찬가지로 멤버들마다 입체적인 캐릭터를 부여하고 있다. 이를 가장 잘 활용한 것이 에스파다. 에스파는 SN엔터테인먼트의 광야라는 세계관에 정점을 찍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세계관을 단순히 그룹의 콘셉트로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음악, 콘서트 등 다양한 활동에 적용해 몰입감을 높였기 때문이다. 또한 음반 디자인, 뮤직비디오, 재킷이미지 등에서 에스파만의 세계관이 시각적으로 잘 드러나 대중과 팬들에게 시각적으로도 큰 즐거움을 주고 있다. 

에스파 세계관 마케팅 SWOT분석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세계관을 단순히 그룹의 콘셉트로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음악, 콘서트 등 다양한 활동에 적용해 몰입감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SM엔터테인먼트의 경우 광야라는 세계관을 전 아티스트에 적용하고 있기에 세계관이 복잡해지는 경우를 초래할 수도 있다. 유니크하고 독보적인 세계관 콘셉트로 팬과 대중들의 머리에 인상깊게 각인시킬 수 있다. 세계관을 너무 강조하거나 너무 꼼꼼하게 하다 보면 오히려 팬들이 피곤함을 느끼고 일반 대중들이 접슨하기는 좀 어려울 수  있다.

3. 비주얼 마케팅 - 케이팝 산업에서 비주얼 마케팅은 앨범은 물론 다양한 아트물(굿즈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야 하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다.

비주얼 마케팅 정의 - 비주얼 마케팅은 비주얼 콘텐츠를 사용하여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높은 창의성과 적극적인 체험감을 강조하며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유치에 큰 영향 미칩니다.

비주얼 마케팅 장점 - 비주얼 마케팅은 기억에 남는 첫인상을 남기며, 목표 그룹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시선을 끌고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판매 증대를 돕는다.

케이팝에서 비주얼 마케팅의 중요성 - 케이팝 산업에서 비주얼 마케팅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굿즈, 음반 등이 쏟아져 나오는데 시각적으로 끌리지 않는다면 아무리 노래와 콘셉트가 좋다고 해도 마음이 식는 것이 바로 덕질이다. 그렇기에 소비자 즉 팬덤의 니즈에 맞춰 ㅅ각적인 요소로 소비 경험을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비주얼 마케팅은 중요하다. 

 

<비주얼 마케팅에 성공한 음반>

  • 6년 만에 발매된 레드벨벳의 정규 3집 칠 킬은 한국적인 미를 담은 앨범으로 콘셉트 트레일러부터 티저, 로고까지 팬들은 물론 대중의 시선을 한눈에 사로잡는다. 콘셉트 트레일러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보고 자랐을 벽걸이 달력이며, 레드벨벳이라는 영어를 한자로 변형시켜 만든 로고 또한 눈에 띈다. 한국적인 콘셉트에 맞춰 제작한 한자 스타일의 로고는 아이돌 문화 매거진 팀원들의 올해의 앨범 디자인상으로 레드벨벳의 칠 킬을 뽑은 강력한 이유가 되기도 했다.  
  • 어도어 엔터테인먼트의 총괄 프로듀서인 민희진과 함께한 뷔의 첫 솔로앨범 LAYOVER이 두 번째 비주얼 마케팅 예시이다. 누런 택배 박스, 아무렇게나 붙여진 송장. LAYOVER은 택배와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왜 택배일까? 누구나 택배를 기다릴 때 설레는 마음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택배를 받았을 때 기쁜 마음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택배는 일상에서 받을 수 있는 가장 작은 형태의 선물과도 같다. 민희진 총괄 프로듀서는 소비자의 이 감성을 노렸다. 택배를 받을 때 행복하고 기쁜 것처럼 뷔의 첫 솔로앨범을 받아보는 팬들도 같은 감정을 느낄 것을 알기에 이를 음반 디자인에 시각적으로 구현됐다.

<스튜디오 그레이 나래 >

- 스튜디오 그레이는 국내 아티스트 앨범 디자인 중에서도 아이돌 앨범을 주로 디자인하는 회사이다. 시작은 2010년대 초중반부터 작업을 해왔기에 스튜디오 그레이 홈페이지나 인스타그램 피드를 보면 K-POP 2세대 아이돌 그룹 앨범부터 4세대라 불리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변천사를 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래 실장은 그래픽과 타이포 그래피 기반의 1인 디자인 스튜디오인 스튜디오 그레이를 운영 중인 디자이너다. 주로 앨범 디자인을 위주로 하고 있다. 나래 디자이너는 재학 시절에 영상 디자인 쪽에 관심이 있었지만 좋은 기회로 디자인 스튜디오 인턴을 경험한 후 스튜디오의 자유분방함에 매료되었다. 이후 타 회사에서 경력을 쌓아가다 독립해 지금의 스튜디오 그레이를 시작했다.

<나래 디자이너 현재 일범 디자인에 관한 실제 인터뷰 내용>

Q. 별색과 홀로그램이 아이돌 앨범의 상징일 때와 현재는 어떻게 다른가요?/몇 년 전 아이돌 앨범 포장으로는 주로 금빛 포장이나 홀로그램 재질을 사용했었는데 현재 앨범에서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나요?

A. 요즘은 앨범 포장을 제작하는 후가공보다 디자인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 요즘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포장 같은 후가공보다는 디자인에 더 많은 신경을 쓰죠. 앨범이 너무 많은 쓰레기를 배출한다는 이미지를 탈피하려고 환경 이슈도 많이 고려해요. 플라스틱 대신에 친환경 종이나 콩기름 잉크를 사용하고, 박스 형태의 앨범보다 포토북 형태나 QR코드가 들어간 포토카드 한 장으로 구성하죠.

Q. 앨범에 주로 사용하는 인물의 사진에도 변화가 있나요? / 예전에는 앨범에 주로 아티스트들의 인물 사진이 필수적으로 들어가 있는 앨범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A. 요즘은 사진이 아예 없는 디자인 선호하는 곳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무조건 얼굴이 잘 보이도록 컬러로 인쇄했죠. 얼굴이 잘려도 안 됐어요. 이제는 그런 금기가 사라졌어요. 왜냐면 NCT나 세븐틴처럼 멤버가 너무 많으면 인물을 커버에 잘 안 넣게 되거든요. 그래서 인물보다 앨범 콘셉트가 잘 표현될 수 있는 사진 위주로 사용합니다. 고거와 달리 앨범 디자인 위상이 많이 올라가서 엔터테인먼트사에서 디자인을 매우 신경 씁니다. 실제로 디자인이 좋아서 잘 팔린다는 이야기도 들어요.

<스트레이키즈 특 앨범 디자인>

앨범 콘셉트-스트레이키즈는 한국적인 콘셉트에 초점을 맞췄다. JYP에서 콘셉트를 이미지로 보여주면서 궁서체 같은 한국적인 스타일로 디자인을 의뢰했다. 기획사에서 보여준 사진이나 뮤직비디오 콘셉트도 보면 을지로 장소를 포함해 한국적인 정서가 느껴지는 장소에서 촬영한 것을 알 수 있다. 

앨범디자인 특징 - 한국적인 콘셉트에 맞춰 앨범 이름이 ★ ★ ★ ★ ★인 것과 타이틀곡제목인 특 S-CLASS를 살려 특이라는 한글과 영어 제목인 S-CLASS도 혼용하기 위해 타이포그래피는 궁서체와 인장 디자인을 최대한 활용했다. 또한 스트레이 키즈 세계관에 등장하는 용을 S자로 나타냈으며 패턴도 한국적인 무드를 위하 창살에 주로 쓰이는 전통 문양을 사용했다. 

---------------------------------------------------------------------------------------------------------------

결론

1. 핵심가치 2. 라이프 스타일 3. 트렌드
어떤 가치를 전할까? 사용하는 유저들은 누굴까? 요즘 어필되고 있는 게 무엇일까?
최근 K-POP음반 디자인은 컨셉과 비주얼적 요소가 시각적으로 잘 구현되어야 한다. 아티스트 팬&KPOP에 관심있는 대중들 스마트 앨범&앨범 패키지 구성요
4. 카피라이팅 5.디자인 6.단계별 확장
콘텐츠를 어떻게 표현할까? 콘텐츠를 어떻게 보이게 할까? 콘텐츠를 어떻게 성장시킬까?
앨범 하나에 아티스트의 컨셉을 담는다. 아티스트만의 독보적인 컨셉을 보여주는 세계관 마케팅과 그것을 시각적으로 구현해 주는 비주얼 마케팅 방법을 활용 아티스트의 세계관을 활용한 굿즈를 제작해 그 아티스트의 세계관이 소비자들과 더 가까워지고 함께 참여하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팝업 스토어 오픈을 이용한다. 

728x9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