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스페셜 로고에 대하여
네이버 스페셜 로고
네이버는 매일 똑같이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작지만 소소한 변화로 네이버 메인을 방문하는 분들께 즐거움을 드리기 위해 2008년부터 스페셜 로고를 만들어왔다.
처음에는 국경일, 명절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해 많은 분들께 더욱 특별한 오늘을 선물하기 위해 지난 시간을 돌아보거나 소중한 살마들을 응원할 수 있는 하루, 의미 있는 이야기와 몰랐던 정보를 알아갈 수 있는 하루를 새롭게 발굴하여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스페셜로고의 역사>
2008년부터 시작한 네이버 스페셜 로고는 200여 명의 창작자와 함께 현재까지 무려 700여 개의 로고 디자인을 선보였다.
첫 번째 로고는 2008년 크리스마스에 집행됐다. 가족, 연인, 아이 등 여러 인물들이 크리스마스를 훈훈하게 보내는 모습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로고를 제작한 UI디자이너가 비주얼까지 제작이 가능해 직접 본인과 가족을 모델로 사진을 찍어 컷을 편집해 제작했다.
<모션>
단순히 화려하고 멋있게 보이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 특별한 날의 의미를 스토리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더 쉽고 친절하게 전달할 수 있다.
- 영상 한 편을 본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위트 있는 모션을 주어 생동감을 더할 수 있다.
<모션 사용 시 유의할 점>
사용성 | 의미 전달 | 모션감 |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한다. | 모션의 수위가 과하면 의미 전달이 되지 않는다. | 화려한 효과나 사용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불필요한 모션은 넣지 않는다. |
<최초의 모션 적요 스페셜 로고>
2009년 광복절 스페셜 로고 - 2009년 8월 15일 광복절 스페셜 로고에 처음으로 모션을 적용했다. 광복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태극기는 빠질 수 없는 그래픽 요소다. 보다 의미 있는 내용을 전달하고자 태극기의 변천사를 알리는 콘셉트로 스페셜로고를 제작했다. 시대별로 총 16종의 태극기 변천사를 표현할 유일한 방법은 모션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모션은 다양한 태극기를 빠짐없이 보여줄 수 있고, 시대별 변천사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다.
<인터랙션>
사용자들 사이에서 "네이버에 강아지의 날 검색해 봐"라는 입소문이 돌았다. 긍정적인 반응과 바이럴이 검색 사용성으로 이어지는 흐름뿐만 아니라 검색 화면에 더 머무르도록 유도하며 쇼핑 기획전 등 다른 서비스에도 환기를 주었다.
<스페셜 로고 참여 작가>
김정윤 작가 - KBL 출범 20주년 기념 스페셜 로고
2017년 한국프로농구 출범 20주년을 기념한 김정윤 작가와의 스페셜 로고. 농구의 액티브한 액션을 모션으로 적용해 눈길을 끌었다. / 신진 창작자와 협업을 막 시작했을 때라 그래픽 스타일도 새로웠고, 액티브한 모션이 적용되어 사용자 반응이 좋았다.
신혜우 작가 - 일러스트레이터 신혜우 작가와 함께 제작한 2022년 '지구의 날'스페셜 로고
식물학자이자 일러스트레이터 신혜우 작가와 함께 한 2022녀 '지구의 날'을 위한 로고는 돋보이는 개성으로 주목받았다. 특히 식물 연구를 위해 제작한 일러스트를 활용했는데, 울릉도와 독도에서만 자라는 식물을 담았다.
유미의 세포들 -2018년 환경의 날 기념 스페셜 로고
이동건 작가와 '환경의 날'을 기념해 분리수거하는 방법을 소개했는데, '네이버 메인에 유미의 세포들이?'라는 기사가 날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이후 웹툰 작가와의 협업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스페셜 로고 선정기준>
이해 | 공감 | 3초 |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가? | 모두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가? | 3초 안에 마음을 사로잡는 움직임 |
4천8백만 사용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
다수의 사용자가 공감할 수 있는 주제 | 네이버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
명절,국경일,절기 등 | 한글, 환경 관련 기념 |
이슈가 되는 날 | 천문현상이나 모르면 지나칠 수 있는날 |
만 나이 시행일, 월드컵, 올림픽, 선거 등 | 개기일식, 슈퍼블루문 등 |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 디자인 트렌드 / dtp란? / 출판 디자인 / 상세 이미지 (0) | 2024.06.04 |
---|---|
아이돌 브랜딩과 에스파에 대한 분석 (1) | 2024.06.04 |
숏폼 콘텐츠 마케팅 / 숏폼이란? (4) | 2024.06.04 |
최근 K-pop 음반 트렌드, 레드벨벳 앨범 , 그레이 나래 (2) | 2024.06.04 |
지자체 캐릭터 스토리텔링 osmu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