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다양한 문화 속의 이모티콘 개발 전략

countryroad 2024. 6. 5. 13:26
728x90
728x90
SMALL

다양한 문화 속의 이모티콘 개발 전략

<동서양 이미지 인식 차이>

이미지 인식 차이 연구 - 니스벳은 서양 사고방식의 근원을 '사물의 본질'을 중시하는 그리스의 철학에서 찾았으며, 동양 사고방식의 근원은 '사물의 관계'를 중시하는 고대 중국의 철학에서 찾았다. 그의 연구는 몇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이를 종합해 보자면 서양은 개인성 동양은 관계성을 바탕으로 사고방식이 형성되어 있다.

니스벳의 이론 - 니스벳의 이론은 서양 사람들이 개체 중심의 사고를, 동양사람들은 상황 중심의 사고를 선호한다고 설명하는 문화적 인지차이에 관한 이론이다. -리처드 니스벳 richard E.NISBETT

<동서양 표정 인식 차이>

동양 이모티콘의 행복과 슬픔은 눈꼬리를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정서를 분별하고 서양이모티콘의 기쁨과 슬픔은 입꼬리를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정서를 구별한다. 이것은 과거 동 서양의탈에서도 구분된다. 한국의 하회탈과 달리 서양 가면은 입이 많이 벌어져 있고 입 꼬리 또한 과장되어 있다.

<서양에선 인기 없는 헬로키티>
아시아에서 인기를 끈 헬로키티가 미국이나 유럽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고양이 캐릭터인 헬로키티는 눈은 있지만 입은 없다. 정재승 교수는 "헬로키티엔 서양인이 감정을 읽거나 이입할 단서가 부족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양 - 개인성,언어메시지 선호, 저맥락 문화 동양 - 고맥락 문화, 관계성, 간접화법
서양 사람의 경우 생각을 언어로 집접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이모티콘에 대한 2차적인 설명이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동양 사람은 대화의 상황과 눈치로 맥락을 짐작하는 경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언어 외에 이모티콘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많다. 

<서양식 이모티콘을 만든다면>

  • 확실한 동작표현 - 서양은 저맥락 사회로 분명하고 확실한 메시지 전달이 중요
  • 표정 - 기본적으로 동양인보다 눈코입이 크다. 눈보다는 입을 강조한 모양을 활용
  • 선 - 가능한 분명하고 확실한 상태로 활용 / 서양은 저맥락 사회로 분명하고선 명한 형태를 선호.
  • 공간 - 여백을 가능한 줄이는 형태를 활용. 기존 한국 이모티콘은 여백이 있으나 서양 이모티콘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

<자국의 문화를 중요시하는 중국>

전통문화를 유지하고자 하는 중국정부 -  정부가 주도하여 중국의 전통매체, 전통문화에 대한보도와 문화 전승을 계속하여 전통문화를 유지하는 작품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Z세대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SNS에 전통문화를 전파하여 젊은 세대들이 스스로 전통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사명감과 책임감을 부여하여 문화를 계승하는 것에 기여한다. 이러한 특징은 이모티콘에서도 나타나는데, 전통 요소를 현대적 요소와 결합해 사용자의 눈에 띄게 하고, 전통문화가 결합한 시대로 발전하는 것을 추구하는 것도 있다.

<애니미즘을 표현하는 일본>
모든 것엔 영혼이 존재한다. - 동물, 식물, 무기물을 불문하고 모든 것에 인류와 공통적인 영혼이 존재한다는 종교적 사고방식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양한 동물, 사물, 인간형 캐릭터 등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가 일본의 대중문화에 자리 잡은 이유기도 하다. 

<한눈에 알아보는 중, 일 이모티콘>

한 중 일 3국은 동아시아의 국가이지만 나라 간의 문화적, 정서적, 미적인 차이가 뚜렷하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드러나는데 예로 일상용품 지면 광고에서 중국은 혈연관계와 인간관계 표현을 중시하며, 일본은 감성, 역사, 사회, 자연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시한다. 

일본 이모티콘 특성 알아보기 중국의 이모티콘 특성 알아보기
전 연령대가 캐릭터 문화에 익숙하다 / 두꺼운 팬층을 보유 / 서브컬어 스타일에서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전연령대가 선호하는 가와이 일본 이모티콘 정부의 규제가 심한편이다/자국의 문화를 중시하다 보니 용두문자 등 중국 문화 요소가 드러나는 이모티콘이 많이 제작되었다.

<젊은 연령층이 선호하는 B급 감성 이모티콘>
B급 감성이란? -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의도적으로 어설프게 표현하거나 선 넘는 솔직함, 개그 코드를 재치 있게 풀어내 가벼운 웃음을 자아내는 포인트를 의미한다. 이모티콘 대세 트렌드로 자리 잡은 요즘 B급 감성은 과몰입을 불러일으키는 고퀄리티 세계관과 콘셉트를 담은 것이 특징이다. 

  • 40대 이상 : 세밀함 / 캐릭터 묘사가 세밀하다. 만화적인 스토리도 정확해 이 이모티콘을 썼을 때 어떤 의미 인지 알기 쉽다.
  • 10~20대 : B급감성/완벽하게 그려진 것보다는 어색하고 독특한 모습으로 일상적인 감정이나 상황을 과장되고 흥미롭게 표현한다. 

<용인시 캐릭터 조아용>

  • 인간적인 요소와 유머감각 - 캐릭터의 솔직하고 가감 없는 감정표현
  • 디자인 변화 - 복잡한 라인의 형태나 그라데이션 표현자제
  • MZ세대와의 적극적 소통 - SNS에서 공공기관 '궁서체'는 버리고 둥글둥글한 서체 사용

<마무리>

동서양의 이모티콘 선호도 차이 탐색
동아시아 중국, 일본 이모티콘 선호도 비교 분석
한국 이모티콘 소비자 선호도 분석

728x90
728x90
LIST